티스토리 뷰
1. 젠킨스 설치 (GCP)
wget은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가져오는 프로그램
sudo yum -y install wget
sudo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://pkg.jenkins-ci.org/redhat/jenkins.repo
sudo rpm --import http://pkg.jenkins-ci.org/redhat/jenkins-ci.org.key
sudo yum -y install jenkins
젠킨스 설치 확인
rpm -qa | grep jenkins
( 결과 : jenkins-2.189-1.1.moarch ) *버전은 다를 수 있음
2. 설정 ( 포트번호 변경)
젠킨스 설정 파일은 /etc/sysconfig 폴더에 있는 jenkins 파일
sudo vi /etc/sysconfig/jenkins
아래 포트번호를 젠킨스 접속에 사용할 포트번호로 변경
JENKINS_PORT="8080"
젠킨스 실행
sudo systemctl start jenkins
※ 자바 경로 관련 에러 발생 시
에러 확인
sudo systemctl status jenkins.service
혹은
sudo journalctl -xe
젠킨스의 자바 경로 설정은 /etc/init.d 폴더에 있는 jenkins 파일
sudo vi /etc/init.d/jenkins
젠킨스의 기본 설정 자바 경로는 /usr/bin/java이다. 본인이 설치한 자바 경로를 candidates에 추가한다. 이때 자바 경로는 자바 설치 폴더가 아닌 자바 실행 파일인 java이다. ( 예 /usr/local/java/bin/java )
candidates="
/etc/alternatives/java
/usr/lib/jvm/java-1.8.0/bin/java
/usr/lib/jvm/jre-1.8.0/bin/java
/usr/lib/jvm/java-1.7.0/bin/java
/usr/lib/jvm/jre-1.7.0/bin/java
/usr/bin/java
/usr/local/java/bin/java
"
3. 젠킨스 접속 확인
1 ) 브라우저 주소창에 서버의 IP 주소와 설정한 포트 번호를 입력해 접속
2 ) 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에서 비밀번호 확인 후 Administrator password 입력
sudo vi 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
3 ) 기본 플로그인 설치 [Install suggested plugins]
4 ) 관리자 계정 생성 (계정명, 암호, 이름, 이메일 주소)
5 ) 젠킨스 주소 설정 [Save and Continue]
6 ) 플러그인 설치 (Jenkins 관리 - 플러그인 관리 - 설치 가능 탭에서 검색 후 설치)
출처 : 김인우,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, 인사이트, 2019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인프라 구축 (0) | 2019.09.02 |
---|---|
빌드 자동화에 대하여 (0) | 2019.07.13 |